채용이 끝나면 모든 게 끝난 걸까요?
사실은 그 반대입니다. 신입사원 3명 중 1명은 입사 후 6개월 이내에 이직을 고려한다고 합니다. 이 통계만 보더라도 온보딩(Onboarding)의 중요성은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습니다.
오늘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 HYBE가 어떻게 차별화된 온보딩 프로그램으로 신입사원의 성장을 돕고, 동시에 조직문화까지 강화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온보딩(Onboarding)이란?
온보딩은 새로 조직에 입사한 직원들이 조직에 잘 적응하고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온보딩, 왜 중요할까?
많은 기업들이 신입사원 교육을 단순한 오리엔테이션으로 끝내곤 합니다.
하지만 온보딩은 단순히 ‘회사소개’를 넘어, 신입사원이 조직에 녹아들고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과정입니다.
이직률 감소
빠른 적응 속도
높은 조직 몰입도
→ 즉, 온보딩은 기업 성장의 숨은 동력입니다.
HYBE의 핵심: HYBE DNA
HYBE는 온보딩을 통해 단순히 업무 프로세스만 전달하지 않습니다.
모든 구성원이 공유해야 할 핵심 가치(HYBE DNA)를 중심에 둡니다.
세 가지 키워드가 그 뼈대를 이룹니다:
열정 (Passion)
자율 (Autonomy)
신뢰 (Trust)
온보딩은 이 DNA를 신입사원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체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Win Together: HYBE의 차별화된 온보딩 프로그램
HYBE는 신규 입사자를 위해 6개월간의 체계적인 온보딩 프로세스를 운영합니다.
단발성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입사원과 회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여정을 제공합니다.
주요 프로그램:
리더와의 1:1 피드백 세션
전사 참여형 문화 프로그램 (타운홀 미팅, 컬쳐데이, 치어스데이 등)
온보딩 이후에도 지속되는 조직문화 내재화 활동
이 모든 과정은 신입사원이 HYBE DNA를 직접 경험하고, 자연스럽게 조직의 일원이 되도록 돕습니다.
좋은 온보딩이 만드는 변화
HYBE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좋은 온보딩은 단순히 신입사원 적응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신입사원은 빠르게 자리 잡고 성장의 동력이 됨
기존 구성원은 새로운 동료와 함께 협력하며 시너지 창출
회사는 낮은 이직률과 강한 조직문화를 얻게 됨
즉, 온보딩은 채용 이후 HR 전략의 핵심이자, 회사와 직원 모두의 성장을 이끄는 출발점입니다.
오늘날 채용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단순히 인재를 확보하는 것을 넘어, 온보딩 전략과 채용 브랜딩을 동시에 고민해야 합니다.
HYBE의 사례는 특히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줍니다:
기업 문화와 비전을 온보딩에 녹여냄
피드백 중심의 맞춤형 성장 지원
온보딩 이후에도 이어지는 문화 내재화
이 세 가지는 규모와 산업을 막론하고, 모든 기업이 참고할 만한 HR 전략입니다.
저희 지원전에 팀은 기업의 채용을 포함한 채용 브랜딩부터 온보딩 전략까지 함께 고민합니다.
우리 회사만의 성공적인 온보딩 모델을 만들고 싶으신가요? 지금이 바로 시작해보세요!
온보딩 프로그램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서 준비중이거나, 전략적으로 개선하고 싶은데 고민이 있으시다면 고민 말고 아래 버튼을 통해 커피챗을 신청하세요!☕️
저희가 함께 고민하고 도와드릴게요(: